고지혈증 약(이상지질혈증 치료제)은
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어
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사용됩니다.

대표적인 약물로는 스타틴(Statins),
피브레이트(Fibrates),
에제티미브(Ezetimibe),
오메가-3 지방산,
담즙산 결합 수지(Bile acid sequestrants),
PCSK9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.
하지만
이러한 약물들은
장기간 복용할 경우
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주요 고지혈증 약물의 부작용을
약물 종류별로
정리해 보았습니다~

1. 스타틴(Statins) 계열의 부작용
스타틴은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
HMG-CoA 환원효소(HMG-CoA reductase)를 억제하여
LDL(저밀도 지단백)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
대표적인 고지혈증 치료제입니다.
대표적인 스타틴 계열 약물로는
아토르바스타틴(Atorvastatin),
로수바스타틴(Rosuvastatin),
심바스타틴(Simvastatin),
프라바스타틴(Pravastatin) 등이 있습니다.
(1) 근육 관련 부작용 (
근육통, 근육병증, 횡문근융해증)
스타틴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근육 이상입니다.
- 경미한 근육통(Myalgia)
- 환자의 약 5~10%에서 발생
- 팔, 다리, 어깨 등의 근육이 아프거나 뻣뻣한 느낌
- 근육병증(Myopathy)
- 근육세포 손상으로 인해 CK(크레아틴 키나아제) 수치 상승
- 근육 약화 및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
- 횡문근융해증(Rhabdomyolysis)
- 심각한 부작용으로 근육세포가 파괴되면서 미오글로빈이 혈액으로 유출
- 급성 신부전 위험 증가

👉 예방 및 관리:
- 증상이 심하면
즉시 의사와 상담하고
약물 용량을 조절하거나 대체 약물 고려
-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여 신장 기능 보호
(2) 간 독성 (간 기능 이상)
스타틴은 간에서 대사되므로
간 효소(AST, ALT) 수치를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.
- ALT 및 AST 상승
(일반적으로 3배 이상 상승 시 중단 고려)
- 간 기능 장애 발생 가능 (황달, 피로, 식욕 부진 등)
👉 예방 및 관리:
- 스타틴 복용 전후
간 기능 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
- 간 기능 이상 증상이 있으면
의사와 상담 후 약물 조정
(3) 당뇨병 위험 증가
스타틴은 혈당 수치를 증가시켜
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- 고위험군: 당뇨병 전단계(Prediabetes)가 있는 환자
- 기전: 인슐린 저항성 증가, 췌장 베타세포 기능 저하

👉 예방 및 관리:
- 혈당 모니터링 및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요법 병행
2. 피브레이트(Fibrates) 계열의 부작용
피브레이트 계열 약물은
트리글리세라이드(TG) 수치를 낮추고
HDL(고밀도 지단백)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.
대표적인 약물로는
페노피브레이트(Fenofibrate),
겜피브로질(Gemfibrozil) 등이 있습니다.
(1) 위장관 장애
- 오심, 구토, 복통, 설사 등
- 지방 변 흡수 장애로 인한 설사 증가 가능
(2) 담석 형성 위험 증가
- 피브레이트는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높여
담석(담낭결석)발생 위험 증가
(3) 근육 이상 (스타틴 병용 시 위험 증가)
- 단독 복용 시에도 근육통 발생 가능
- 스타틴과 병용 시 횡문근융해증 위험 증가**
👉 예방 및 관리:
- 스타틴과 병용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용량 조절
- 복통이나 황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방문

3. 에제티미브(Ezetimibe)의 부작용
에제티미브는
소장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차단하여
LDL 콜레스테롤을 낮춥니다.
(1) 위장관 장애
- 복통, 설사, 오심 등 발생 가능
(2) 간 기능 이상
- 단독 사용 시 위험 낮으나, 스타틴과 병용 시 간 효소 수치 상승 가능
(3) 근육통 및 피로
- 스타틴과 병용할 경우 근육병증 위험 증가
4. 오메가-3 지방산의 부작용
오메가-3 지방산(예: EPA, DHA)은
트리글리세라이드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.
(1) 위장 장애
- 복부 불편감, 설사, 메스꺼움
(2) 출혈 위험 증가
- 혈액 응고를 억제할 수 있어 출혈 위험 증가
👉 예방 및 관리:
- 와파린 등 항응고제 복용 환자는 주의 필요
5. 담즙산 결합 수지(Bile Acid Sequestrants)의 부작용
담즙산 결합 수지는 담즙산과 결합하여
체내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킵니다.
(1) 위장 장애
- 변비, 복부 팽만, 가스 증가
(2) 비타민 흡수 저하
- **지용성 비타민(A, D, E, K) 흡수 감소** 가능
👉 예방 및 관리:
- 지용성 비타민 보충 필요
6. PCSK9 억제제의 부작용
PCSK9 억제제 예:
알리로쿠맙(Alirocumab), 에볼로쿠맙(Evolocumab)는
LDL 수치를 강력하게 낮추는 주사제입니다.
(1) 주사 부위 반응
- 주사 부위의 통증, 발적, 부종
(2) 감염 위험 증가
- 상기도 감염 및 독감과 유사한 증상 발생 가능
결론
고지혈증 약물은 심혈관 질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,
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스타틴: 근육 이상, 간 기능 저하, 당뇨병 위험
- 피브레이트: 위장 장애, 담석 형성, 근육통
- 에제티미브: 위장 장애, 간 기능 이상
- 오메가-3: 위장 장애, 출혈 위험
- 담즙산 결합 수지: 변비, 비타민 흡수 저하
- PCSK9 억제제: 주사 부위 반응, 감염 위험
따라서
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약을 선택하고,
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부작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'건강 및 운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갑상선 암 증상과 치료 (1) | 2025.03.27 |
---|---|
콤부차의 효과와 다이어트와의 관계 (4) | 2025.03.26 |
필라테스 운동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, 그리고 운동 방법 (10) | 2025.03.25 |
9월 인바디 변화 (0) | 2019.09.16 |
인바디 변화 - 3개월 (0) | 2019.08.10 |